728x90
반응형

지훈은 회사에서 ‘눈치가 빠른 직원’이었다. 그는 오래전부터 조직의 룰을 깨닫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법을 배웠다. 회사에는 보이지 않는 라인이 있었다. 누구를 따라야 하고 누구에게 잘 보여야 승진의 기회가 오는지, 누구와 친하게 지내면 불이익을 피할 수 있는지. 지훈은 선배들에게 배운 그대로 움직였다. 그 룰은 그에게 확실한 안전망이었고, 그는 그걸 믿었다.

회의에서는 팀장의 눈치를 살피며 고개를 끄덕였고, 팀장이 말하면 누구보다 빨리 메모를 했다. 중요한 결정 앞에서 그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았다. 상사가 말하는 방향이 곧 정답이었고, 굳이 나서서 일을 복잡하게 만들 필요는 없었다.
“괜히 튀면 손해다. 지금처럼만 가면 나도 팀장 정도는 되겠지.”

그렇게 지훈은 실수를 피했고, 팀장의 신임도 어느 정도 얻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회사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고 있었다. 결과를 중요시하는 문화가 도래했고, ‘라인’이라는 것도 이전처럼 견고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지훈은 믿고 따르던 선배가 해고당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 선배는 지훈이 배우고 따라왔던 룰의 상징이었다. 누구보다 사람을 잘 챙기고, 조직에 충성했으며, 보이지 않는 회사 내 권력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움직였던 사람. 하지만 그런 선배에게 회사는 냉정했다.
“회사의 방향성이 바뀌었으니까요. 이제는 실적으로 증명해야죠.”

그 말을 듣는 순간, 지훈은 어지러움을 느꼈다. 자신이 믿어왔던 룰은 한순간에 무너졌고, 그는 새로운 방향을 찾아야 했다.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무엇을 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반면 강민은 처음부터 다른 룰을 따랐다. 그에게는 단 하나의 기준이 있었다.
‘일을 잘해야 한다. 그리고 일을 잘하려면 소통하고 배우며 끊임없이 피드백을 구해야 한다.’

첫 기획서가 망했을 때도, 강민은 그저 묵묵히 상사에게 물었다.
“제 기획서에서 부족했던 부분이 뭘까요?”
상사가 대답했다.
“데이터를 더 탄탄하게 준비해. 감으로 쓰지 말고.”

그 말이 끝나자마자 강민은 상사와 동료들이 남긴 모든 조언을 노트에 적었다. 비웃음도 들었고, 뒷말도 많았다.
“강민은 너무 튀어. 굳이 저렇게까지 해야 돼?”
“건방지네, 실패했으면 조용히 있지.”

하지만 강민은 그런 말에 개의치 않았다. 그는 실패를 ‘결과’가 아니라 ‘과정’으로 여겼다. 중요한 것은 매번 조금씩 나아지는 것. 한 번 더 넘어졌을 때, 한 번 더 일어서는 것이 그의 유일한 목표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강민은 점점 달라졌다. 그의 기획서는 탄탄해졌고, 발표는 설득력을 더해 갔다. 처음에는 불편해하던 동료들도 더 이상 그를 건방지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팀원들은 슬며시 그에게 물었다.
“강민, 나 이번에 준비한 거 좀 봐줄 수 있어?”

그때 강민은 깨달았다.
‘내가 믿었던 이 방식이 틀리지 않았어.’

그러던 어느 날, 지훈과 강민이 같은 프로젝트에 배정되었다. 회의실에 앉아 상사가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번 분기 목표를 좌우하는 중요한 건입니다. 확실하게 준비하세요.”

지훈은 눈치를 살폈다.
‘누구한테 물어봐야 하지? 이건 누구를 따라야 할까?’
그는 마음이 불안했다. 선배들이 항상 해답을 주었고, 회사의 룰을 알려주었는데 이제 그곳에는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혼자서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두려웠다. 지훈은 아는 척하며 가만히 있었지만, 그의 노트는 텅 비어 있었다.

반면 강민은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상사에게 먼저 찾아갔다.
“이번 프로젝트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서 그런데, 이 방향이 맞을까요?”
상사는 처음에는 귀찮다는 듯 대답했지만, 강민의 태도에 조금씩 의견을 나누기 시작했다. 강민은 동료들에게도 말을 걸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한 자료를 갖고 있는 사람 있어요? 같이 얘기 좀 해보죠.”

며칠 후, 프로젝트 보고서가 상사에게 올라갔다. 보고서에는 강민의 이름이 가장 먼저 적혀 있었고, 팀원들이 협업한 흔적이 빼곡히 남아 있었다. 반면 지훈은 마지막 순간에도 아무런 의견을 내지 못했고, 그저 조용히 앉아 있었을 뿐이었다.

회의를 마치고 지훈은 생각했다.
“그렇게 나선다고 뭐가 달라지겠어. 난 평범하니까.”

그러나 그는 알지 못했다. 그저 일을 잘하고자 했던 강민의 방식이, 시간이 지나며 그를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라인은 변한다. 사람도 변한다. 하지만 일을 잘하는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배울 점을 찾아 움직이는 사람만이 결국 살아남는다. 지훈은 멈춰 섰고, 강민은 앞으로 나아갔다.

멈출 것인가, 나아갈 것인가. 그것이 결국 모든 것을 결정한다.


728x90
반응형

'단편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74 축적의 힘  (0) 2024.12.19
#72 유리정원의 혁명  (3) 2024.12.18
#71 건너편 창문  (4) 2024.12.16
#70 빛과 그림자: 제한된 자원의 끝에서  (2) 2024.12.15
#69 도덕적 민주주의  (3) 2024.12.14

쇼피파이로 글로벌 이커머스 정복하기 | 📘 구매하기

728x90
반응형

아버지와 아들은 오늘도 송아지를 축사에서 풀밭으로 옮기기 위해 애를 쓰고 있었다. 아버지는 앞에서 밧줄을 잡고 송아지를 끌어당겼고, 아들은 뒤에서 온 힘을 다해 밀어 보았다. 송아지는 느긋한 표정으로 그 자리에 굳건히 서 있었다. 꼼짝도 하지 않는 송아지의 태도에 땀이 흐르고 숨이 차오를 무렵, 둘은 한숨을 내쉬며 서로를 바라보았다.

그때, 길가를 지나가던 한 아주머니가 그 모습을 보고 걸음을 멈췄다. 눈가에 웃음을 머금은 그녀는 다가와 두 사람에게 말했다.

“애들아, 내가 조금 도와줄까?”

아버지와 아들은 반신반의하며 고개를 끄덕였다. 아주머니는 송아지 앞으로 다가가더니, 뜻밖에도 자신의 검지 손가락을 송아지의 입가에 갖다 대며 그에게 살짝 물리도록 했다. 송아지는 놀란 듯 잠시 멈칫하더니 곧 아주머니의 손가락을 핥기 시작했다. 부드럽게 움직이는 송아지의 혀와 달리, 아주머니는 미소를 머금고 차분히 송아지를 향해 말했다.

“얘야, 이리 가자. 이렇게 천천히 가면 되지 않겠니?”

송아지는 아주머니의 손가락을 핥으며 서서히 그녀가 이끄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버지와 아들은 놀라움에 찬 눈으로 그 광경을 지켜보았다. 그들은 거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송아지가 천천히 그들의 뒤를 따라오는 것을 보며 한참 동안 멍하니 서 있었다.

아주머니가 송아지를 풀밭에 도착시키고 나서야, 아버지는 자신도 모르게 소리 내어 웃었다. 아들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아주머니에게 다가가 조심스레 물었다.

“어떻게 송아지가 그렇게 쉽게 따라오게 하셨나요?”

아주머니는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다.

“송아지든 사람이든, 자기가 좋아하는 게 있으면 스스로 움직이게 되어 있어. 억지로 끌고 가려고만 하면 더 저항하는 법이야.”

아버지와 아들은 그 말을 곰곰이 되새겼다. 이 경험은 송아지를 옮기는 단순한 일이 아니라, 사람을 대하는 법에 대한 깊은 교훈으로 남았다.


728x90
반응형

쇼피파이로 글로벌 이커머스 정복하기 | 📘 구매하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