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진은 고집이 셌다. 마음에 안 드는 게 있으면 주저 없이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스스로를 ‘논리의 전사’라 여겼고, 언제나 자신의 신념이 옳다고 믿었다. 회사 회의에서도 늘 자신이 내놓는 의견이 가장 합리적이라 생각했기에, 다른 의견이 나오면 주저 없이 논쟁을 벌였다.

이번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효율'을 강조하며 비용 절감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을 주장했고, 이를 이루기 위해 논리적으로 설득하려 애썼다. 하지만 회의 결과, 그의 제안은 채택되지 않았다. 대신 동료 선우의 ‘안정성’ 중심의 접근이 결정되었다. 우진의 속은 부글부글 끓었다. 자신이 제시한 방안이 더 나은 해결책이라고 확신했는데도 팀의 최종 결정에서 밀려난 것이었다.

결국 회의가 끝나자 우진은 분통을 터뜨리며 사무실 밖으로 나섰다. 도무지 이대로는 참을 수 없었다.

그날 저녁, 선우가 우진에게 다가왔다. "오늘 저녁에 술 한잔할래?" 그는 평소와 다름없이 부드러운 미소를 지었다. 분이 풀리지 않은 우진은 처음엔 마지못해 고개를 끄덕였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선우와의 대화로 자신의 답답함을 풀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작은 포장마차에 자리를 잡고 술잔을 몇 번 주고받은 후, 우진은 참다못해 선우에게 물었다. “선우, 솔직히 말해봐. 왜 네 의견은 그렇게 쉽게 받아들여지고, 내 의견은 자꾸 묵살당하는 걸까?”

선우는 우진의 질문에 잠시 술잔을 내려놓고, 우진을 바라보며 말했다. “그게 꼭 내 의견이 옳아서 받아들여진다고 생각하지는 않아. 그냥, 난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접근하려고 할 뿐이야. 꼭 내 의견이 다 맞다고 고집하는 대신, 다른 사람의 의견도 들어보고, 거기서 내 생각을 조정해보는 거지.”

우진은 얼굴을 찌푸리며 반박했다. “그럼 네 생각을 버리고 타협만 한다는 거잖아? 난 그게 못 참겠어. 내 신념이 옳다면 끝까지 주장해야지, 그걸 포기하는 건 내가 틀렸다는 걸 인정하는 거나 다름없다고 생각해.”

선우는 조용히 웃으며 술을 한 모금 마셨다. “우진, 이건 내 생각인데… 가끔은 내가 완전히 옳을 필요가 없을 때도 있어. 오히려 상대가 내 생각을 받아들이고 함께 협력하려는 여지를 주면, 결과적으로 내가 얻고자 하는 실리도 얻을 수 있는 것 같더라고. 한 번 생각해봐, 상대방이 나를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받아들이도록 하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우진은 고개를 갸웃하며 선우의 말을 되새겼다. 그에게는 여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논리적으로 이길 수 있는데, 왜 타협을 택해야 하는 걸까? 하지만 술잔을 기울이며 선우의 태도 속에서 느껴지는 묘한 여유와 안정감을 부러워하는 마음도 없지 않았다.

밤이 깊어가며 우진은 내내 자신의 생각을 곱씹었다. 그는 여전히 자신의 신념을 쉽게 꺾을 마음은 없었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확실해졌다. 실리와 신념, 그 두 가지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삶에서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728x90
반응형

쇼피파이로 글로벌 이커머스 정복하기 | 📘 구매하기

728x90
반응형

아버지와 아들은 오늘도 송아지를 축사에서 풀밭으로 옮기기 위해 애를 쓰고 있었다. 아버지는 앞에서 밧줄을 잡고 송아지를 끌어당겼고, 아들은 뒤에서 온 힘을 다해 밀어 보았다. 송아지는 느긋한 표정으로 그 자리에 굳건히 서 있었다. 꼼짝도 하지 않는 송아지의 태도에 땀이 흐르고 숨이 차오를 무렵, 둘은 한숨을 내쉬며 서로를 바라보았다.

그때, 길가를 지나가던 한 아주머니가 그 모습을 보고 걸음을 멈췄다. 눈가에 웃음을 머금은 그녀는 다가와 두 사람에게 말했다.

“애들아, 내가 조금 도와줄까?”

아버지와 아들은 반신반의하며 고개를 끄덕였다. 아주머니는 송아지 앞으로 다가가더니, 뜻밖에도 자신의 검지 손가락을 송아지의 입가에 갖다 대며 그에게 살짝 물리도록 했다. 송아지는 놀란 듯 잠시 멈칫하더니 곧 아주머니의 손가락을 핥기 시작했다. 부드럽게 움직이는 송아지의 혀와 달리, 아주머니는 미소를 머금고 차분히 송아지를 향해 말했다.

“얘야, 이리 가자. 이렇게 천천히 가면 되지 않겠니?”

송아지는 아주머니의 손가락을 핥으며 서서히 그녀가 이끄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버지와 아들은 놀라움에 찬 눈으로 그 광경을 지켜보았다. 그들은 거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송아지가 천천히 그들의 뒤를 따라오는 것을 보며 한참 동안 멍하니 서 있었다.

아주머니가 송아지를 풀밭에 도착시키고 나서야, 아버지는 자신도 모르게 소리 내어 웃었다. 아들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아주머니에게 다가가 조심스레 물었다.

“어떻게 송아지가 그렇게 쉽게 따라오게 하셨나요?”

아주머니는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다.

“송아지든 사람이든, 자기가 좋아하는 게 있으면 스스로 움직이게 되어 있어. 억지로 끌고 가려고만 하면 더 저항하는 법이야.”

아버지와 아들은 그 말을 곰곰이 되새겼다. 이 경험은 송아지를 옮기는 단순한 일이 아니라, 사람을 대하는 법에 대한 깊은 교훈으로 남았다.


728x90
반응형

쇼피파이로 글로벌 이커머스 정복하기 | 📘 구매하기

+ Recent posts